교육과 상품 아무도 교육을 상품이라고 하지 않는다. 하지만 입시는 상품이다. 아무도 ‘입시=교육’이라고 하지 않지만, 입시결과가 좋지 않으면 교육 실패라 말한다. 이렇게 해서 입시는 교육, 스펙은 인성을 먹어치웠다. 성적으로 줄을 세우고, 이탈한 사람은 무능하다고 떨궈냈다. 누구도 의도치 않았지만, 대부분이 ‘성공하기 위한 선택’을 한 결과, 상품강박의 사회가 됐다. ‘학교, 교육의 의무를 넘어 학습권 실현으로’… 자세히보기
지금, 여기서 행복한 아이들에게 필요한 것들 2년 전 ○○중학교 1학년 진로수업 마지막 날 버킷리스트를 작성했다. 버킷리스트란 ‘죽기 전에 꼭 해야 할 일이나 하고 싶은 일에 대한 리스트’를 말하는데, 한 남학생의 답을 보고 깜짝 놀랐다. 버킷리스트 1번에 적힌 문항이 ‘하루만이라도 내 마음대로 살아보는 것’이라니. 부모님이나 선생님께 이런 소망을 말씀드려봤냐고 물었더니 안 해봤고, 안 될 거라는 그 아이의… 자세히보기
놀기는 아이들의 권리이다 놀이는 아동의 일상에서 중요시되어야 하는 주요 행위다. 놀이의 특성은 여가나 교육 등과는 다르다. 따라서 아이들은 교육과 놀이를 균형 있게 경험해야 한다. 그러나 놀이 시간, 내용, 공간 등의 실태는 매우 빈약하고 관련 법은 흩어져 있다. 우리 아이들이 놀이할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여러 정책과제 개발과 시행이 요구된다. 아동 권리가 보장되어야 하는 이유… 자세히보기
장난감을 줄이면 창의력이 자란다 많을수록 좋을까? 장난감이 많으면 아이가 다양하게 갖고 놀 수 있으니 창의력이 잘 자랄 것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아이들은 장난감이 많으면 오히려 한 가지에 집중하지 못하고 금세 흥미를 잃어버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어차피 또 새로운 장난감이 생긴다고 여기는 거죠. 실제로 미국 털리도대학교 연구진은 너무 많은 장난감이 오히려 아이의 창의력을 저해할 수도… 자세히보기
구석을 발견하는 힘 “미술을 왜 배울까?” 이 질문에 금방 대답하는 학생은 별로 없다. 차라리 “시간표에 있으니까요”라고 솔직히 답해주는 학생이 있다면 오히려 매끄러운 수업 시작이 가능해진다. 까닭을 생각해보면 1학기 첫 시간에 첫 질문을 받은 학생들은 어색한 분위기 탓에 쉽게 대답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그리고 미술 관련 진로를 꿈꾸는 학생이 아니라면 입시로 발등에 불이 떨어진 학생들로서는… 자세히보기
질문을 잘하면 사고력이 높아진다? 질문은 짧고 간결하게 아이에게 질문할 때는 간결하게 하세요. 자세한 설명은 아이가 이해하는 데 도움은 되겠지만, 질문 앞에 설명이 너무 길어지면 아이들은 이야기를 들으며 앞서 이야기한 내용을 잊어버리게 됩니다. 핵심은 한 번 더 짚어주기 문제를 풀거나 책을 읽을 때는 핵심이 되는 부분을 놓치지 않도록 반복해서 질문하는 것이 좋아요. 어른은 아이가… 자세히보기
내 인생의 느낌표, 삶을 디자인하는 진로교육 초·중등학교의 진로교육이란 학생에게 자신의 소질과 적성을 바탕으로 직업세계를 이해하고 자신의 진로를 탐색, 설계할 수 있도록 학교와 지역사회의 협력을 통하여 진로수업, 진로심리검사, 진로상담, 진로정보 제공, 진로체험, 취업지원 등을 제공하는 활동을 말한다. 오늘날 학교의 진로교육은 진로교육법이라는 법제적 근거보다 미래사회의 변화와 예측, 이에 따른 준비, 적응의 필요성 등의 중요성이 부각되며 그 필요성이 더욱… 자세히보기
미래사회를 위한 창의교육의 시작 미래시대, 인간만이 할 수 있는 영역은? 제4차 산업혁명이 화두다. 제4차 산업혁명이 우리에게 커다란 이슈가 된 것은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빅 데이터, 로봇 등의 핵심기술이 인간의 일자리를 빼앗을 것으로 예측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작년 다보스포럼에서는 2020년까지 수백만 개의 일자리가 사라질 것으로 예상했다. 일자리 감소는 청소년들에게 보다 심각한 문제다. 이미 우리나라 청년들은 일자리… 자세히보기
맞춤법보다는 자유로운 상상력에 날개를! 한글 교육, 어떻게 시작했나요? 전은영 오늘은 초등 저학년의 글쓰기에 대해서 특히, 한글을 접하는 과정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누려고 하는데요. 요즘에는 한글 교육이 학교에 입학하기 전에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죠. 아이들 한글 공부를 어떻게 했는지, 초등학교 1학년 한글 교육과정이 있음에도 왜 미리 공부하게 되는 건지에 대해 우선 이야기를 나눠볼까요? 성기주 학교에 들어가면 알림장도… 자세히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