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학교 공간 혁신을 꿈꾸다 서울시교육청은 학교공간재구조화 정책 사업을 국외에 홍보하고 다른 국가가 학교공간 사업을 추진할 때 활용할 수 있도록 영문 백서를 발간하여 독일, 스페인 등 총 31개국 대사관을 대상으로 배부할 계획이다. 학교공간재구조화 사업은 사용자 참여 과정을 거쳐 기존의 획일적인 학교 공간을 수요자가 원하고 요구하는 공간으로 탈바꿈하는 사업이다. 서울시교육청은 그동안 성과를 정리하여 매년 백서를 출간해왔다.… 자세히보기
‘혁신’이 이름이 될 때, ‘혁신’이 생활이 될 때 교육과정 및 수업 혁신을 기치로 내걸고 2011년 도입한 서울형혁신학교는 그동안 서울교육에 구체적이고 유의미한 성과와 과제를 모두 남겼다. 혁신의 꽃이 피기까지 위기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현재도 위기의 과정을 거치고 있다. 그러나 위기는 곧 기회이기도 하다. 위기를 통한 질적 도약을 위해 기존과는 다른 해결방식이 필요하다. 위기 속에서도 꿋꿋이 피어난 혁신의 꽃 곽노현… 자세히보기
우리가 꿈꾸는 서울교육의 미래 소통 없는 혁신은 이루어질 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다양한 목소리를 경청하는 열린 소통이 있을 때비로소 진정으로 모두가 행복한 교육이 완성된다. 학생, 교사, 학부모, 교직원 등 서울교육 구성원들은조희연 교육감에게 무엇을 바라고 있는지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를 들어본다. 교직원 한 걸음 더! 우리 곁으로 다가와 주세요! ‘학교를 위한 교육청시대’를 위해 일선에서 일하는… 자세히보기
교육의 미래를 내다보다 혁신의 답은 멀지 않은 곳에 있다 인공지능(AI)과 로봇, 증강현실(AR)과 가상현실(VR). 나날이 눈부신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기술과 여러 분야의 결합, 이로 인한 무궁무진한 시너지는 오늘날 우리 사회의 가장 큰 관심사 중 하나다. 교육 분야도 마찬가지다. 4차 산업혁명시대라 불리는 지금, 우리 교육은 새로운 테크놀로지와의 결합을 통해 학교와 교실을 어떻게 바꿔나가야 할지 고민하며,… 자세히보기
혁신학교의 지속성과 학교혁신의 확산 혁신학교가 맞이한 지속가능성의 문제 2018년은 서울에서 혁신학교 정책이 시작된 지 8년이 되는 시점이다. 더불어 혁신미래교육 1기를 평가하고 2019년부터 2022년까지 혁신미래교육 2기의 중장기 플랜을 세우는 시기이기도 하다. 서울시교육청은 혁신학교의 발전과 성장을 위하여 현장의 목소리를 듣는 다양한 의견수렴 과정을 진행했다. 2017년에는 혁신학교 교원을 중심으로 4차례의 정책토론회를 진행했고, 2018년 상반기에는 혁신학교 189개교, 1455명의… 자세히보기
한국사회와 교육, 혁신과 미래를 향해 나아간다 한국 민주주의의 역동성, 세계 민주주의의 모델이다 성열관 마이클 애플 교수의 이번 방문은 지난 2015년 이후 2년 만에 이루어졌습니다. 그때는 국정교과서 이슈가 가장 중요했는데, 지금은 많은 것이 변했습니다. 오늘 대담은 평화로운 촛불혁명 이후 갖는 대담이기에 더 특별한 의미가 있다고 하겠습니다. 조희연 어제 ‘평화시민 교육’에 관한 컨퍼런스가 있었고 저도 참여했었습니다. 교수님이 강연… 자세히보기
‘통합’과 ‘협력’ 교육으로 ‘혁신’을 확장하여 ‘미래’의 초석을 놓겠습니다 이 글을 쓰고 있는 지금, 마침 제가 취임한 지 3년이 경과하고 있는 시점입니다. 지난 3년을 차분하게 되돌아보면서 남은 1년을 어떻게 보낼지 깊이 고민하고 있습니다. 저는 저에게 주어진 4년을 제 인생의 전부라는 생각으로 서울교육을 위해 일해야 할 책무가 있습니다. 그런 책임감으로 3년을 정신없이 보냈다고 생각합니다. 남은 1년도 그렇게 노력할 것입니다. 하지만… 자세히보기